자세히 보기
사이트맵

기관 소개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어 진흥을 위해 노력합니다.

발자취

국어생활연구원이 걸어온 길입니다.

국생연은 우리말 우리글이 우리 삶을 얼마나 흐뭇하게 해 주고 우리를 얼마나 설레게 해 주는지
펼쳐 보이는 데에 힘쓰겠습니다.

2020~현재
2024
12. 19.
방문교육/공문서 작성법, 서울특별시 관악구(곳: 회의실).
8. 27.
방문교육/공문서 작성법, 한국행정연구원.
8. 21.
방문교육/보도자료 작성법, 한국행정연구원.
3. 22.
방문교육/공문서 작성법(신규자 대상), 에스알(SR)
2. 20.
방문교육/공문서 작성법, 금청구(곳: 구청 회의실).
1. 1.~12. 31.
위촉 위원/<서울특별시 강남구 옥외광고심의위원회 위원>, 강남구.
2023
8. 22.~10. 26.
용역/2023년 공문서·보고서 작성 교육, 강릉시(곳: 대회의실).
7. 30./ 8. 3.
방문교육/공문서 보고서 작성법,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키스티).
6. 30.
방문교육/보고서 작성법(난민 심사 관련), 법무연수원.
1. 1.~12. 31.
위촉 위원/<서울특별시 강남구 옥외광고심의위원회 위원>, 강남구.
1. 1.~12. 31.
용역/2023년도 국어사전 감수 및 정비 사업, 국립국어원.
2022
10. 24.
방문교육/어문규정-공문서 작성법, 국토정보교육원(충남 공주시 소재).
9. 21. / 9. 22.
방문교육/공문서 작성법,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곳: 이마빌딩 재단강의실).
6. 1.
시설/교육장(원격 강의실, 사무실, 휴게실 포함)을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306(5층)으로 옮김.
방문교육/사례 중심 공문서 작성법, 시흥시(곳: 화상 강의실).
1. 14.~12. 31.
용역/2022년도 국어사전 감수 및 정비 사업, 국립국어원.
2021
10. 1.~10. 31.
용역/공주시 공직자 글쓰기 과정>/기적의 도서관 대회의실.
9. 4.
시설/사무실, 원격 강의실을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331, 1501호로 옮김.
1. 1.~12. 31.
용역/국어사전 자료 감수와 정비 사업, 국립국어원.
1. 11.
시설/국생연 신당동 강의실을 집합교육-원격교육 동시 진행 가능 공간으로 만듦.
2020
10. 6.~10. 27.
감수/검정 신청용 <초등학교 사회과 도서> 8종(심사 결과: 모두 합격).
8. 21.
시설/국어생활연구원 스튜디오 원격교육용 설비 보완 확충.
1. 2.~12. 31.
용역/국어사전 자료 감수 및 정비 사업, 국립국어원.
2010~2019
2019
9. 9.
발간/시집 《나에게 시가 왔습니다》, 국어생활연구원 교육생들의 작품집/나명희 교수 기획, ㈜ 양철북출판사. 
8. 2.
심사/<2019 ○○도 국어문화진흥사업> <운영 수탁 기관 제안서>, ○○도청 신관 3층 회의실.
1. 10.~12. 31.
용역/《우리말샘》 등 국어사전 자료 감수 및 정비 사업, 국립국어원.
2018
8. 31.
시설/원격교육용 스튜디오(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18길 9, 지산타운 502호) 마련.
5. 2.
개설/국어생활연구원 강원 지원(江原支院) 개원(지원장: 김영자 박사).
3. 15 ∼ 3. 31.
검토-감수/《청소기 사용 설명서》, 삼성전자.
1. 22.~12. 31.
용역/《우리말샘》 표현·표기 감수 및 정비, 국립국어원.
1. 15.
시설/교육생용 휴게실(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18길 9, 지산타운 206호) 마련.
1. 8.~12. 31.
용역/《우리말샘》 등록 자료 감수 및 정비, 국립국어원.
2017
11. 15.~12. 15.
감수/《한글, 함께 걷다》(국립한글박물관 기증자료집), 국립한글박물관.
4. 10 / 4. 17.
방문교육/국어 표기법/재소자 직업훈련 과정, 법무부 서울지방교정청 서울남부교도소.
3. 22.
위촉 단원/<2017년도 국립극장 고객서비스 평가단>, 국립극장.
3. 14.~12. 31.
용역/《우리말샘》 표현·표기 감수 및 정비, 국립국어원.
2. 1.
시설/국생연 신당동 강의실(서울특별시 중구 동호로 18길 9, 지산타운 203호) 확보.
2016
10. 24.~11. 11.
감수/검정 신청용 <중학교 사회과 도서> 2종(심사 결과: 모두 합격).
10. 17.~10. 31.
검토-감수/장애 학생 초등학교 통합 교수 학습 자료 개발 표현-표기, 전남대 산학협력단.
10. 6.
토론 발표/<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10주년 기념 발전 방안 세미나>, 법제처.
9. 5.
검토 회의/법제처 <알기 쉬운 법 관련 연구 용역의 자문회의>, 곳: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402호.
8. 30.~10. 20.
검토/시각장애인용 교과서와 지도서(이료(理料)-보건/해부-생리/병리).
5. 25.~9. 21.
교육(자원봉사)/우리글(한글)/비문해(문맹) 성인 대상(월-수-금 오전), 사랑의 전화 복지재단.
3. 21.~3. 23.
방문교육/국어 표기법/재소자 직업훈련 과정, 법무부 서울지방교정청 서울남부교도소.
3. 9.~12. 16.
용역/《개방형 한국어 종합사전》 전문용어 표현 표기 감수단, 국립국어원.
2. 12.~2. 17.
검토-감수/《삼성SDS Connected Enterprise Service Platform OSS 포털 관리자 매뉴얼》. ㈜ 에이에스티.
1. 6.~1. 26.
검토-감수/《2016 경제총조사 조사표》, 《2016 경제총조사 및 사업체조사 조사 지침서》, 통계청.
2015
11. 1.~11. 4.
검토-감수/《가전제품 설명서》, <검토의 주안점과 유형별 사례>, 매뉴얼뱅크.
10. 26.~11. 16.
검토-감수/《편수자료》, <한글 맞춤법> 적용 준칙 / 교과용 도서의 표기, 표현 사례, 교육부.
10. 14.
학술 발표/<직관적 자유, 소비자는 이런 가전제품 매뉴얼을 원한다>, 2015 KTCA학술대회, (곳: 코엑스).
5. 2.~5. 15.
검토-감수/《냉방기 사용 설명서》(매뉴얼), 삼성전자.
4. 1 / 4. 15.
검토-감수/《2015 농림어업 총조사 조사 지침서》, 통계청.
3. 11.~12. 20.
용역/《개방형 한국어 대사전》 전문용어 표현 표기 감수단, 국립국어원.
1. 27.~3. 11.
검토-감수/《2015 인구 주택 총조사》 등 질문지 5종, 통계청.
2014
12. 31.
수상/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국립한글박물관 개관 유공), (곳: 국립한글박물관).
12. 26, 29, 30 (3일).
방문교육/국어 표기법/시각장애인 점역사 과정,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12. 18.
수상/<우리말 겨루기>(KBS 1TV 프로그램), <2014년 바른 방송 언어 특별상>(주최: 방송통신심의위원회).
11. 27.~12. 1.
검토/강원도청 누리집(세정과).
11. 11.~11. 18.
검토/강원도청 보고서(세정과).
10. 8.
전시 조언/《세종대왕, 한글문화 시대를 열다》(국립한글박물관 개관 기념 특별전) 도록(圖錄).
5. 1.~2015. 1. 11.
용역/《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전문용어 감수단, 국립국어원.
3. 26.~7. 31.
검토-감수/국립한글박물관 전시 해설문(300여 점). 문화체육관광부.
3. 21.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사업자 등록(학술연구용역/교육/행사대행/대관, 등록번호 105-82-18475).
2013
12. 23.~2014. 1. 7.
감수/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서울의 생활 4-1》 감수, 한국교육정보연구원.
9. 2.~11. 17.
홍보/<유네스코 세종 문해상>, <한글 발전 유공자상> 받은 이 초청, 한국 문화 소개, 문화체육관광부.
5. 19.~2014. 10. 9.
위촉 위원/<국립한글박물관 개관 준비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4. 26.
공청회 토론/<소득세법 개편안>, 기획재정부(곳: 한국조세연구원).
4. 4.
발표/의학 분야의 바른 글쓰기(곳: 워커힐호텔).
1. 11.
발표/의학 분야의 바른 국문 번역을 위한 가이드/,감염내과(MMK)(곳: JW메리어트호텔 미팅룸 감염내과 전문의).
2012
12. 31.
공편/《일상생활 수화 5》,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10. 6.
심사/아름다운 우리말 간판 이름 짓기, 문화체육관광부.
8. 2.~11. 16.
전시/한글주간 특별기획전-<톡톡 한글, 누림 세상> 주관, 문화체육관광부 (곳: 경복궁 수정전).
7. 18.
공청회 토론/<부가가치세법 개편안>, 기획재정부(곳: 한국조세연구원).
5. 29.~6. 25.
검토 조언/<논술문 작성법>, 한국국토정보공사.
5. 23.
발표/의학 분야의 바른 글쓰기, 한국역학회(곳: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5. 8.~5. 12.
심사/<공무원 글쓰기 수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 1.
<생활국어 전문 교육과정>(공무원, 일반인 대상) 운영 시작.
2. 1.~2012. 12. 20.
용역/《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법률-사회-정치 용어 17,000항목 집필, 국립국어원.
1. 31.
공편/《일상생활 수화 4》,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2011
8. 4.~11. 22.
전시/<565돌 한글날 기념 특별기획전-<세계 문자전> 주관, 문화체육관광부(곳: 경복궁 수정전).
3. 25.~12. 24.
용역/《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경제 용어 29,000항목 집필, 국립국어원.
2. 23.
인가 취득/국어생활연구원이 <한국어 교사 양성 기관>으로 인정됨, 문화체육관광부.
2010
12. 3.~2011. 3. 31.
평가/전국 국어문화원(11곳) 운영 상황, 문화체육관광부.
11. 26.
위촉 위원/<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재위촉을 받음, 법제처.
10. 9.
수상/한글 발전 유공자 대통령상 <곳: 세종문화회관(한글날 경축식장)>.
10. 4.
업무 제휴/동아일보사와 <공동 협력 양해 각서> 체결.
9. 2.~11. 20.
홍보-체험/564돌 한글날(한글주간) 어린이 한글 체험 사업, 문화체육관광부.
9. 2.~11. 19.
감수/<단어 바로 쓰기>(온라인 교육용), 국립국어원-크레듀.
8. 5.~11. 20.
전시/<564돌 한글날 기념 특별기획전-<생활 속 점자-수화전> 공동 주관, 문화체육관광부 (곳: 세종이야기).
7. 12.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사업자 등록(고유 번호 105-82-18475).
7. 2.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설립 등기(등기 번호 002856, 등록 번호 270121-0028563).
6. 14.
인가 취득/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법인 설립(문화체육관광부 제2010-32호).
4. 8.
특강/문장 바로 쓰기, 국회사무처.
4. 7.
발표/의료 문장 바로 쓰기,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3. 31.
공편/《천주교 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3. 5.
토론/<공공 언어 향상을 위한 토론회>, 국회.
2. 28.
공편/《불교 수화》, 《일상생활 수화 3》,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2. 18.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창립 총회와 창립 이사회 개최(이사장-원장: 김희진).
2. 8.
편집 조언/《국립국어원 20년사》, 국립국어원.
2007~2009
2009
12. 23.
토론 발표/<공공 언어 면에서 본 법령문의 지향점>, 대통령과의 대화, 정책 수용자 대표로 참여, 법제처(곳: 청와대).
12. 14.~2010. 1. 12.
감수/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서울의 생활 4-1》 감수, 한국교육정보연구원.
12. 3.
특강/구별해야 할 말, 국회사무처.
12. 11.
발표/<알기 쉬운 공문서 쓰기의 방향>, 한국교육문화융복합학회.
11. 9.
심의/<홈리스> 용어(보건복지부 관련 법), 법제처.
11. 6.~4. 23.
검토-감수-심의/의학 용어 순화, 한국수면학회.
11. 5.~11. 20.
감수/《입안 방법》, 국회 법제실.
10. 29.
특강/알기 쉬운 법령 문장, 한양대학교 법학과
7. 27.
특강/법조문의 국어 순화(국회 입법고시합격생 대상). 국회사무처.
7. 3.
특강/의료계 문장 바로 쓰기, 임상미생물학회(곳: 연세대 의과대학).
6. 10.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곳: 무등일보<광주>).
6. 26.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곳: 전북일보: 전주).
5. 26.
특강/알기 쉬운 법령 문장, 한양대학교 로스쿨.
5. 8.~5. 30.
감수/통합 교과(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수학 교과서-국어 교과서, 교육부.
4. 13.
특강/법조인의 문장 다시 보기, 법무법인 원.
3. 30.
특강/공문서 쓰기의 실제―법규문서(민법)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로스쿨.
2. 26.
특강/법조인의 문장 다시 보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2. 25.~2011. 2. 24.
위촉 위원/<국회 입법 지원 위원>, 국회사무처.
2. 11.~2. 28.
감수/<공문서 바로 쓰기>(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국립국어원-크레듀.
2. 11.~2. 23.
감수/<국어 순화>(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국립국어원-크레듀.
2. 5.~4. 23.
심의/<알기 쉬운 민법 만들기>, 법제처.
1. 25.
공편/《의학 수화》, 《일상생활 수화 2》, 《정보통신 수화》,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1. 20.~2. 10.
감수/<공문서 바로 쓰기>, 국립국어원-크레듀.
1. 14.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 설립 준비 위원회> 구성 운영.
2008
12. 30.
특강/의료 문장 바로 쓰기, 서울대학교병원(곳: 병원역사문화센터).
12. 10.
특강/법조문 바로 쓰기, 국회사무처.
11. 3.~2009. 4. 27.
용역(공동 연구)/《알기 쉽게 정비한 ’관세법’ 초안 마련을 위한 연구》, 법제처.
11. 3.
특강/<판결문의 모습과 보완 방향>, 서울남부지방법원 판결문 간이화 세미나.
11. 1.
특강/의료문 바로 쓰기, 한국수면학회(곳: 포천 아도니스호텔).
10. 6.
심사/<알기 쉬운 법령 만들기> 공모 행사, 법제처.
7. 28.
특강/예비 언론인 대상 언론 언어 교육(곳: 원자력연구원, 대전 소재).
7. 3.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 지역 주간지 중견 기자 워크숍(곳: 순천 시민의 시민).
7. 1 ∼ 7. 22.
심의/《2007년도 민족 생활어 조사》, 국립국어원.
6. 3~6. 4.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 전남 지역 주간지 기자 워크숍(곳: 나주리조트호텔).
4. 23.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 지역 주간지 중견 기자 워크숍(곳: 목포투데이).
3. 12.
특강/알기 쉬운 법령 문장-지평 문장 다시 보기(변호사 대상), 법무법인 지평.
2. 15.
심의/철도 용어 순화.
2. 9.~2016. 11. 29.
감수/《초등 국어 3-1》, 《초등 수학 3》, 《초등 과학 3》 등 교과서 26권. 국립국어원.
1. 25.
감사패 받음(도서 600여 권 기증 관련)/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장.
1. 19.
특강/의료 문장 바로 쓰기, 대장항문학회(곳: 삼성동 파크하얏트서울 3층 The SALON).
1. 14 / 1. 16.
심의/<세법 관련 법안>, 재정경제부 조세정책과.
1. 11.~1. 30.
집필/<공문서의 요건과 구체 사항>, 《전남국어문화원 교재》, 전남국어문화원.
1. 10.~1. 25.
집필/<공문서 쓰기의 실제>, 《바른 국어 생활》, 국립국어원.
2007
12. 31.
공편/《법률 수화》, 《일상생활 수화 1》,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12. 27.
공편/《한국 어문 규정집》, 국립국어원.
12. 7.~2012. 4. 2.
공동 집필/중학교 《국어》, 《생활국어》 검정 교과서(교학사, 심사 결과: 합격).
12. 3.~12. 14.
집필/<공문서 쓰기>, 《바른 국어 생활》, 국립국어원.
11. 24.
발표/시각 및 청각 장애자와 한국어, 한국사회언어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대회. 
10. 9.
공저/《방송 뉴스의 어휘 선택》, 한국방송기자클럽 제작/한국언론재단-한국방송협회 후원 (출판사: 역락).
엮음/《방언 이야기》, 국립국어원.
9. 17.
특강/판결문 다시 보기(판사 대상), 대법원 법원행정처.
10. 8.
심사/독후감(중등부), 남산도서관.
9. 15. / 9. 18.
특강/신문 기사 바로 쓰기 교육(곳: 경남도민일보).
8. 30.~31 / 9. 3.
심의/<세법령 법안>(<국세기본법>, <국세징수법>, <법인세법>, <특별소비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 개정 법률안, <소득세법>, <조특법>, <부가세법>, <세무사법>), 재정경제부 조세정책과.
7. 23.
특강/예비 언론인 대상 언론 언어 교육(곳: 원자력연구원, 대전 소재).
7. 1.~12. 31.
검토-집필/《표준국어대사전》 계열어, 국립국어원.
6. 17.~6. 22.
윤문/국가시험 제2차 문제지. ○○부(중앙행정기관).
4. 25.
신임 대상 언론 언어 교육(곳: 한국언론재단 미디어교육팀 교실).
4. 7.
특강/예비 언론인 대상 언론 언어 교육(곳: 한국언론재단 미디어교육팀 교실).
3. 31.
공편/《한국수화문형사전》. 한국표준수화규범제정추진위원회, 국립국어원-한국농아인협회.
3. 3.
특강/예비 언론인 대상 언론 언어 교육(곳: 한국언론재단 미디어교육팀 교실).
2. 8.~2. 15.
윤문/국가시험 제1차 문제지, ○○부(중앙행정기관).
2. 7.~6. 20.
검토/《아주대병원 소식지》(월간, 2007. 1. 2.~6. 20.).
2. 7.
윤문/○○도 지방공무원 시험문제지. ○○도청(지방행정기관).
2. 7.~2016. 3. 21.
방송 프로그램 총감수 <우리말 겨루기>(KBS 1TV), 총 468회.
2. 7.
국어생활연구원 설립 운영(임의단체, 원장 김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