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띄어쓰기에서 자칫 실수하는 경우 조사/관형사/의존명사/접사/명사/ 같거나 비슷한 형태의 접사, 조사,어미가 있는 의존 명사
4. 띄어쓰기 고쳐 보기
13:00 ~14:50
제2부 문서의 바른 표기와 실제(김덕신)
1. 어문 규정의 종류
가. 한글맞춤법
나. 표준어 규정
다. 문장부호
라. 외래어 표기법
마.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 문서 고쳐 보기
15:00 ~ 16:50
제3부 문서의 바른 표현과 실제(성기지)
1. 공문서 작성에 관련된 법령
2. 문서 작성의 일반 원칙에 관한 규정
3. 문서의 작성 기준 세부 내용
4. 문서 작성의 일반 원칙(정리)
5. 문서의 구성(제목)
6. 바람직한 문서의 요건: 정확성/용이성/성실성/경제성
7. 문서 작성 시 유의해야 할 표기와 표현: 어휘선택/문장
8. 문서 고쳐 보기
강사 소개
김덕신
문학박사. 카이스트-충남대 강사, 충남대 언어교육원 한국어 전임연구원, 교과서-국가고시 표기 표현 검토 위원
저서: 《보고서 작성법》(2023), 《유학생을 위한 대학 생활 말하기 2》(공저, 2022), 《유학생을 위한 대학 생활 말하기 1》(공저, 2021), 《꼭 알아야 할 대학 한국어 글쓰기 1, 2》(공저, 2020), 《언어와 사회》(공저, 2013), 《리얼라이프》(한국어 교재/공저, 2009)
성기지
전 한글학회 연구편찬실장
학술지: 《한글》, 《문학한글》, 《교육한글》 편찬/ 월간: 《한글 새소식》 발간
순화-표준화 사업: 학술용어(2021), 행정용어(2020), 보건복지부 전문용어(1999)
저서: 《아, 그 말이 그렇구나!》(2004), 《고치고 더한 생활 속의 맞춤법 이야기》(2001), 《생활 속의 맞춤법 이야기》(2000), 《맞춤법 사슬을 풀어 주는 27개의 열쇠》 (1997), 《우리글 바로잡기 연습》(1996), 《한국어 능력 시험》(공편, 2004)
수상: 문화관광부 장관상(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