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사이트맵

교육과정 안내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어 진흥을 위해 노력합니다.

이전 교육 과정

국생연 2022년 8월 실시간 (온라인 줌 활용) 원격교육과정 운영 계획

작성자
국생연
작성일
22-07-15
조회수
848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이 다음과 같이 (줌 활용 온라인) 원격교육과정을 진행합니다.  

 

1.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〇 업무 효율을 높이는 인력 개발

 〇 바르고 품위 있는 언어생활 유도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인성 확립

  소통 능력을 갖춘 융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

 

2. 교육과정의 개요

 

갈래

과정 이름/때

교수 학습 활동 내용

인정

시간

실무 

교육과정

(1)

 

보고서

과정

(신문주)

 

(각 이틀)

제30기 초급 보고서반

8. 9.(화)

 ~8. 10.(수)

주 대상: 7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6급 이상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동작 보고서 (1페이지 보고서)의 핵심 구성 요소(제목-요약전-글상자-개요 외)/다양한 동작 보고서 (상황-개요 -계획, 실행, 결과 종합) 동향 보고서/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제71기 중급 보고서반

8. 11.(목)

~8. 12.(금)

주 대상: 6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관리자 공무원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실무기획 보고 서의 구성요소(제목-요약전 –글상자 -개요-추진배경-현황 및 문제점-목표)/실무기획 보고서 4유형(기본유형-회의개최형–개선집행형 1, 2) 작성법/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제71기 기획 보고서반

8. 17.(수)

~8. 18.(목)

주 대상: 6-7급/<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5급 이상도 가능/기획 담당은 8급 이하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기획 보고서의 핵심 구성요소(제목-표지의 작은 요약전-작은 글상자-개요–추진 배경-현황 및 문제점) 작성법 /추진배경 이후 기획 보고서의 전개 모습 개관/보고서 작성을 위한 어휘력 증진법

실무 

교육과정

(2)

 

공문서

과정

 

(각 하루)

제95기 공문서반(신문주)

8. 8.(월)

문서통 되기

7

•올바른 공문서 작성 의식 형성

•바람직한 공문서 학습 순서와 요령

•공문서 본문 작성 요령

•제목, 기안용지,용어, 항목기호, 말투, 일괄기안, 인사말 외

•숫자, 날짜, 금액 등 표현, 문장부호 외

제22기 행정실무반(허남식)

8. 24.(수)

실무통 되기(1)

7

•공문서 작성법

•보고서 작성법           

•민원 실무

•정보공개 실무

•행정절차 실무

•행정실수 사례 분석

제114기 공공언어 114

(김덕신/진정)

8. 4.(목)

실무통 되기(2)

7

공공언어의 정의, 요건, 지향점

공공언어 사용 실태, 쉬운 공공언어(용어) 쓰기

생활 속 국어 표기

•공문서의 정의, 관련 법령, 작성상 일반 원칙, 구성 체계, 작성 시 유의점

•공문서 작성 실습

제44기 공문서 중심 맞춤법반(김덕신)

8. 29.(월)

실무통 되기(3)

7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포함)

•외래어 표기법

•표준어 규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융복합

-창의

교육과정

제114기 생활국어반

8. 22.(월)

 ~8. 23.(화)

흐뭇한 삶 누리기

14

•글쓰기, 환하게 따스하게(나명희)      

•공문서 작성법(김덕신)

•나답게 사는 법(홍상미)

•글 쓰는 법(강원국)

•공공언어 이해(진정)

•영화로 보는 화법 이야기(강재형) 

제49기 삶과 글

(나명희/안영주/윤성근>

8. 31.(수)

 

글에 삶 녹이기            

7

<삶 녹인 글 쓰기>

―삶과 글의 관계

―공감 주는 글 쓰기(실습)

  산문/운문(시)

 

<가사(노랫말) 만들어 보기>

•가사의 구조/가사의 특징

•노래 제목 짓기(실습)/•내용 분석해 보기

•,<작가와  삶>

책 쓰기가 삶에 미치는 영향/작가와 독자의 관계/헌책방에서 찾는 지혜

제18기 세상 향한 글쓰기(칼럼, 에세이)

(남미영/나명희/강원국)

8. 19.(금)

리더로서 생각하고 작가처럼 전달하기

7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드는 기술, 글쓰기 

•글쓰기의 기초체력 기르기

•구상-핵심 소재 찾기

•시작에서 완성까지-글 한 편 완성하고 도움 말글 받기

•글쓰기 - 디지털 시대의 생존전략

•맛있고 힘 있는 글쓰기의 기술

•‘세상 향한 글쓰기’, 그림책으로 넓히기 

•칼럼, 이렇게 쓰자: 시간 투자/환경 조성/자료로/ 생각으로/ 관계로

제5기 삶과 말

(강재형/남미영/김성은)

 8. 25.(목)

 

말로 삶 바꾸기

  

7

<삶은 계란(=삶이 곧 계란)>: 성공의 화법/ 위로의 화법/자존의 독백

<삶과 말>: 행복한 인생/신데렐라의 행운/달콤쌉싸름한 대화/쓰디쓴 말/진실한 말/말밭 가꾸기

<연결하는 대화, 통하는 대화>

- 내 안의 자동적 사고 찾기

- 자동적 사고와 느낌, 욕구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