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히 보기
사이트맵

교육과정 안내

국민의 국어 능력 향상과 한국어 진흥을 위해 노력합니다.

이전 교육 과정

국생연 2022년 6월 실시간 (온라인 줌 활용) 원격교육과정 운영 계획

작성자
국생연
작성일
22-05-12
조회수
885

 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이 2022년 6월 실시간 (온라인 줌 활용) 원격교육과정을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1.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〇 업무 효율을 높이는 인력 개발     

 〇 바르고 품위 있는 언어생활 유도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인성 확립

 〇 소통 능력을 갖춘 융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

 

2. 교육과정의 개요

갈래

과정 이름/때

교수 학습 활동 내용

인정 시간

실무 

교육과정

(1)

 

보고서

과정

(신문주)

 

(각 이틀)

제28기 초급 보고서반

 6. 7.(화)

~6. 8.(수)

주 대상: 7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6급 이상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동작 보고서(1페이 지 보고서)의 핵심 구성 요소(제목-요약전-글상자-개요 외)/다양한 동작 보고서(상황-개요 -계획, 실행, 결과 종합) 동향 보고서/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제69기 중급 보고서반

 6. 13.(월)

~6. 14.(화)

주 대상: 6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관리자 공무원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실무기획 보고서의 구성요소(제목-요약전 –글상자 -개요-추진배경-현황 및 문제점-목표)/실무기획 보고서 4유형(기본유형-회의개최형–개선집행형 1, 2) 작성법/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제69기 기획 보고서반

 6. 15.(수)

~6. 16.(목)

주 대상: 6-7급/<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5급 이상도 가능/기획 담당은 8급 이하도 가능

14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기획 보고서의 핵심 구성요소(제목-표지의 작은 요약전-작은 글상자-개요–추진 배경-현황 및 문제점) 작성법 /추진배경 이후 기획 보고서의 전개 모습 개관/보고서 작성을 위한 어휘력 증진법

실무 

교육과정

(2)

 

공문서

과정

 

(각 하루)

제91기 공문서반(신문주)

6. 2.(목)

문서통 되기(1)

7

•올바른 공문서 작성 의식 형성

•바람직한 공문서 학습 순서와 요령

•공문서 본문 작성 요령

•제목, 기안용지,용어, 항목기호, 말투, 일괄기안, 인사말 외

•숫자, 날짜, 금액 등 표현, 문장부호 외

제92기 사례 중심 공문서반(허남식)

6. 22.(수)

문서통 되기(2)

7

•행정업무 운영 개요

•문서의 종류/기안문의 실례           

•문서의 작성과 처리

•문서 관리/문서별 표시 방법

•문서의 작성과 처리

•문서 작성례

제112기 공공언어 114

(김덕신/진정)

6. 23.(목)

실무통 되기(1)

7

공공언어의 정의, 요건, 지향점

공공언어 사용 실태, 쉬운 공공언어(용어) 쓰기

생활 속 국어 표기

•공문서의 정의, 관련 법령, 작성상 일반 원칙, 구성 체계, 작성 시 유의점

•공문서 작성 실습

제42기 공문서 중심 맞춤법반(김덕신)

6. 27.(월)

실무통 되기(2)

7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포함)

•외래어 표기법

•표준어 규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융복합

-창의

교육과정

제112기 생활국어반

  6. 20.(월)

 ~6. 21.(화)

흐뭇한 삶 누리기

14

•글쓰기, 환하게 따스하게(나명희)      

•공문서 작성법(김덕신)

•말과 인생(남미영)

•글 쓰는 법(강원국)

•공공언어 이해(진정)

•영화로 보는 화법 이야기(강재형) 

제47기 삶과 글

(안영주/김동식/윤성근)

  6. 29.(수)

 

글에 삶 녹이기            

7

<가사(노랫말) 만들어 보기>

•가사의 구조/가사의 특징

•노래 제목 짓기(실습)/•가사 내용 분석하기

<초단편소설 써 보기>

•착상하기/살 붙이기/결말 짜기

<헌책방에서 만난 책과 삶>

•책, 왜 읽고 쓰는가

•책 쓰기가 삶에 미친 영향

•희대의 책도둑 블룸버그의 삶

•작가와 독자의 관계/작가의 천재성

•절판된 책을 찾는 사람들 외

제16기 세상 향한 글쓰기(칼럼, 에세이)

(남미영/강원국/나명희)

6. 17.(금)

리더로서 생각하고 작가처럼 전달하기

7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드는 글쓰기>    

•글쓰기의 기초체력 기르기

•구상-핵심 소재 찾기

•글 한 편 완성하고 도움 말글 받기

<‘세상 향한 글쓰기’, 그림책으로 넓히기>

•벽은 허물고 울타리는 넓히고

•속도보다 방향/삶을 읽는 힘

<칼럼, 이렇게 쓰자>

•시간 투자/환경 조성/자료로/ 생각으로/관계로

제3기 삶과 말

(강재형/조규림/송인성)

  6. 9.(목)

 

말로 삶 바꾸기

  

7

<삶은 계란(=삶이 곧 계란)>: 성공의 화법/ 위로의 화법/자존의 독백

<생각 정리 말하기>: 생각 정리하고 말하 기의 특성/머릿속 생각 요약 정리 후 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