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국어생활연구원이 다음과 같이 (줌 활용 온라인) 원격교육과정을 진행합니다.
1.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
〇 업무 효율을 높이는 인력 개발
〇 바르고 품위 있는 언어생활 유도
〇 공직자로서의 바람직한 인성 확립
〇 소통 능력을 갖춘 융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양성
2. 교육과정의 개요
갈래 |
과정 이름/때 |
교수 학습 활동 내용 |
인정 시간 |
|
실무 교육과정 (1)
보고서 과정 (신문주)
(각 이틀) |
제30기 초급 보고서반 8. 9.(화) ~8. 10.(수) |
주 대상: 7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6급 이상도 가능 |
14 |
|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동작 보고서 (1페이지 보고서)의 핵심 구성 요소(제목-요약전-글상자-개요 외)/다양한 동작 보고서 (상황-개요 -계획, 실행, 결과 종합) 동향 보고서/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
||||
제71기 중급 보고서반 8. 11.(목) ~8. 12.(금) |
주 대상: 6급 이하/<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관리자 공무원도 가능 |
14 |
||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실무기획 보고 서의 구성요소(제목-요약전 –글상자 -개요-추진배경-현황 및 문제점-목표)/실무기획 보고서 4유형(기본유형-회의개최형–개선집행형 1, 2) 작성법/보고서 작성 위한 어휘력 증진법 |
||||
제71기 기획 보고서반 8. 17.(수) ~8. 18.(목) |
주 대상: 6-7급/<보고서 작성법> 지도 능력 향상 희망 시 5급 이상도 가능/기획 담당은 8급 이하도 가능 |
14 |
||
공직 업무 흐름과 잘 만든 보고서 정의/보고서의 기본유형과 기본목차/기획 보고서의 핵심 구성요소(제목-표지의 작은 요약전-작은 글상자-개요–추진 배경-현황 및 문제점) 작성법 /추진배경 이후 기획 보고서의 전개 모습 개관/보고서 작성을 위한 어휘력 증진법 |
||||
실무 교육과정 (2)
공문서 과정
(각 하루) |
제95기 공문서반(신문주) 8. 8.(월) |
문서통 되기 |
7 |
|
•올바른 공문서 작성 의식 형성 •바람직한 공문서 학습 순서와 요령 •공문서 본문 작성 요령 |
•제목, 기안용지,용어, 항목기호, 말투, 일괄기안, 인사말 외 •숫자, 날짜, 금액 등 표현, 문장부호 외 |
|||
제22기 행정실무반(허남식) 8. 24.(수) |
실무통 되기(1) |
7 |
||
•공문서 작성법 •보고서 작성법 •민원 실무 |
•정보공개 실무 •행정절차 실무 •행정실수 사례 분석 |
|||
제114기 공공언어 114 (김덕신/진정) 8. 4.(목) |
실무통 되기(2) |
7 |
||
•공공언어의 정의, 요건, 지향점 •공공언어 사용 실태, 쉬운 공공언어(용어) 쓰기 •생활 속 국어 표기 |
•공문서의 정의, 관련 법령, 작성상 일반 원칙, 구성 체계, 작성 시 유의점 •공문서 작성 실습 |
|||
제44기 공문서 중심 맞춤법반(김덕신) 8. 29.(월) |
실무통 되기(3) |
7 |
||
•한글 맞춤법(띄어쓰기 포함) •외래어 표기법 |
•표준어 규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
융복합 -창의 교육과정 |
제114기 생활국어반 8. 22.(월) ~8. 23.(화) |
흐뭇한 삶 누리기 |
14 |
|
•글쓰기, 환하게 따스하게(나명희) •공문서 작성법(김덕신) •나답게 사는 법(홍상미) |
•글 쓰는 법(강원국) •공공언어 이해(진정) •영화로 보는 화법 이야기(강재형) |
|||
제49기 삶과 글 (나명희/안영주/윤성근> 8. 31.(수)
|
글에 삶 녹이기 |
7 |
||
<삶 녹인 글 쓰기> ―삶과 글의 관계 ―공감 주는 글 쓰기(실습) 산문/운문(시)
|
<가사(노랫말) 만들어 보기> •가사의 구조/가사의 특징 •노래 제목 짓기(실습)/•내용 분석해 보기 •,<작가와 삶> 책 쓰기가 삶에 미치는 영향/작가와 독자의 관계/헌책방에서 찾는 지혜 |
|||
제18기 세상 향한 글쓰기(칼럼, 에세이) (남미영/나명희/강원국) 8. 19.(금) |
리더로서 생각하고 작가처럼 전달하기 |
7 |
||
•세상을 내 편으로 만드는 기술, 글쓰기 •글쓰기의 기초체력 기르기 •구상-핵심 소재 찾기 •시작에서 완성까지-글 한 편 완성하고 도움 말글 받기 |
•글쓰기 - 디지털 시대의 생존전략 •맛있고 힘 있는 글쓰기의 기술 •‘세상 향한 글쓰기’, 그림책으로 넓히기 •칼럼, 이렇게 쓰자: 시간 투자/환경 조성/자료로/ 생각으로/ 관계로 |
|||
제5기 삶과 말 (강재형/남미영/김성은) 8. 25.(목)
|
말로 삶 바꾸기 |
|
7 |
|
<삶은 계란(=삶이 곧 계란)>: 성공의 화법/ 위로의 화법/자존의 독백 <삶과 말>: 행복한 인생/신데렐라의 행운/달콤쌉싸름한 대화/쓰디쓴 말/진실한 말/말밭 가꾸기 |
<연결하는 대화, 통하는 대화> - 내 안의 자동적 사고 찾기 - 자동적 사고와 느낌, 욕구의 관계 |